-
리눅스 기초다지기_파일권한 변경 / linux permission definitionlinux리눅스 2022. 3. 16. 20:10
리눅스에서 기초가 되는 파일, 폴더의 권한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리눅스에서는 chmod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폴더에 대한 접근권한을 설정합니다.
권한 변경은 슈퍼 유저나 파일 소유자만 가능합니다.
문자열에 의한 권한 변경, 숫자열 권한 변경 순서대로 진행해보겠습니다.
파일, 폴더의 접근 권한 변경 chmo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hmod <옵션> <사용자><설정기호><권한> <파일 또는 폴더(directory)>
접근권한 문자열 설정
구분 기호 설명 접근권한
permissionr 읽기 w 쓰기 x 실행 수행할 연산 + 권한 추가 - 권한 제거 = 권한 부여 사용자 줄임말 u user의 약자, 소유자 g group의 약자, 그룹 o other의 약자, 일반 사용자 a all의 약자, 모든 사용자 문자가 없으면 'a' 와 동일하게 적용 옵션 -R 디렉토리 하위경로의 모든 접근권한 변경 ex)
a+x (+x) : 모든 사용자 실행 권한 추가
a-x (-x) : 모든 사용자 실행 권한 제거
u=rw : 소유자에게 읽기, 쓰기 권한 부여
g+r,o+x : 그룹에 읽기 권한 추가, 기타 사용자에게 실행 권한 추가
실제 예제(맥os사용)
실습에 앞서 hello_linux 폴더를 만들어 경로에 접속해 있었습니다.
mkdir hilinux ls -l empty.txt ls -all
초기 설정한 파일 권한을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글자가 d 가 적혀있는 이유는 폴더(directory) 를 표시해주는 것입니다.
첫번째 글자를 제외한 3글자씩 사용자, 그룹, 기타(일반)사용자의 권한을 보여줍니다.
empty.txt파일의 초기 권한은 사용자는 읽기,쓰기 / 그룹은 읽기 / 기타는 읽기
hilinux 폴더는 사용자는 읽기,쓰기,실행 / 그룹은 읽기, 실행 / 기타는 읽기, 실행 권한이 부여되어있습니다.
----
chmod a+x empty.txt ls -all
위의 사진과 비교하였을때 empty.txt 의 사용자,그룹,기타의 'x'추가(실행권한) 된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
이번에는 hilinux 폴더에 그룹과 기타사용자의 실행권한을 제거해보겠습니다.
chmod go-x hilinux ls -l
hilinux폴더의 'x'가 사라진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접근권한 숫자열 설정
숫자열을 통해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8진수 2진수 파일 모드 권한 0 000 --- 권한 없음 1 001 --x 실행 2 010 -w- 쓰기 3 011 -wx 쓰기, 실행 4 100 r-- 읽기 5 101 r-x 읽기, 실행 6 110 rw- 읽기, 쓰기 7 111 rwx 읽기, 쓰기, 실행 ex)
754 : 소유자 -> 읽기,쓰기,실행 권한 부여 숫자 7 / 그룹 -> 읽기,실행 부여 숫자5 / 기타(일반사용자) -> 읽기 부여 숫자4
실제 예제(맥os사용)
현재 환경에서 hilinux의 폴더 권한을 모두 사용 가능하게 부여해보겠습니다.
chmod 777 hilinux ls -l
empty.txt파일의 그룹과 기타사용자 권한을 읽기만 부여하게 바꿔보겠습니다.
chmod 744 empty.txt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