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킹
-
SQL DB옵션 정리 (DDL, DML, DCL)이론킹 2021. 3. 14. 21:56
DB옵션 정리. DDL (data define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나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사용한다. 명령어 기능 CREATE SCHEMA, DOMAIN, TABLE, INDEX를 정의한다. ALTER TABLE에 대한 정리를 변경한다. DROP SCHEMA, DOMAIN, TABLE, INDEX를 삭제한다.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명령어 기능 SELECT 테이블에서 조건에 맞는 튜플(데이터)를 검색한다. INSERT 테이블에서 새로운 튜플을 삽입한다. DELETE 테이블에서 조건에 맞는 튜플을 삭제한다. UPDATE 테이블에서 조건에 맞는 튜플의 내..
-
스키마(schema) in DB이론킹 2021. 3. 14. 21:36
스키마 (schema) 의 국어사전 뜻 외부의 환경에 적응하도록 환경을 조작하는 감각적ㆍ행동적ㆍ인지적 지식과 기술을 통틀어 이르는 말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해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입니다. 상세하게 말하면,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과 속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개체(Entity),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Relation)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할 제약조건들을 기술한 것입니다. 쉽게 정리하여, DB내에 어떤 구조로 데이터가 저장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 구조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1)개념스키마=전체적인 뷰 : 조직체 전체를 관장하는 입장에서DB를 정의한 것 - 데이터 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 2..
-
jsp servlet API 정리이론킹 2021. 3. 9. 09:01
Servlet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서블릿 Servlet 은 정적 웹 페이지를 동적 웹페이지로 구현하게 만드는 것. 자바로 작성이 되어있으므로 자바의 일반적인 특징을 모두 가짐 서버에서 실행되므로 보안과 관련된 기능도 안전하게 수행가능 Servlet 인터페이스 javax.servlet 패키지에 선언 Servlet 관련 추상 메서드를 선언 init(), service(), getServletInfo(), getServletConfig()를 선언 ServletConfig 인터페이스 - javax.servlet 패키지에 선언 - Servlet 기능 관련 추상 메서드가 선언 - getInitParameter(), ge..
-
jsp의 한글처리(post, get 방식)이론킹 2021. 3. 9. 08:50
jsp나 servlet에서 한글을 그냥 사용하려고 하면 제대로 읽어오지 못한다. 영어는 1 byte지만, 한글은 2 byte이기 때문이다. euc-kr 도 사용가능하지만, utf-8이 지원하는 것이 많으므로 utf-8로 encoding 을 하려한다. post 방식 servlet 파일 post 방식일 때, jsp -> servlet으로 데이터가 넘어오는 경우 servlet에서 한글을 지원받으려면, 아래와 같은 코드를 넣어주어야한다.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charset=UTF-8"); jsp 파일 post 방식일 때, jsp -> jsp로 데이터가 넘어오는 경우 jsp 파일 상단에 아래와 같은 코드..
-
자바 빈즈(java beans)이론킹 2021. 3. 9. 08:29
자바 빈즈는 순수하게 데이터만 처리하는 객체(클래스)를 말한다. 데이터를 멤버변수로 가지고 있는 클래스를 말한다. 장점 자바 빈즈를 이용하면 JSP 페이지가 복잡한 자바 코드로 구성되는 것을 피한다. JSP 페이지에는 HTML코드와 쉽고 간단한 자바코드만. 어려운 코드를 분리.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재사용 가능(상속하는것 처럼?) action content JSP와 연관시켜 자바 빈즈 생성 생성된 자바 빈즈의 객체를 이용해 setter에 속성 값을 전달 생성된 자바 빈즈의 객체를 이용해 getter에 속성 값을 반환
-
HTTP 상태 코드(에러코드 종류)이론킹 2021. 3. 7. 17:21
글의 상단분에는 전체적인 에러코드 내용과 자주 쓰는 에러내용을 담아 볼까 한다. (글의 하단부에는 흔하게 쓰지 않는 에러코드까지 전부 적어놓았습니다.) 모든 HTTP 응답 코드는 5개의 클래스(분류)로 구분된다. 상태 코드의 첫 번째 숫자는 응답의 클래스를 정의한다. 마지막 두 자리는 클래스나 분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첫자리에 대한 5가지 값들은 다음과 같다. 1xx, 2xx, 3xx까지는 정상적인 처리 또는 과정, 정보를 뜻한다면, 4xx, 5xx 경우는 에러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아두자. 응답 코드 클래스 의미 설명 1 Informational (정보) 리퀘스트를 받고, 처리 중에 있음. 2 Success (성공) 리퀘스트를 정상적으로 처리함. 3 Redirection (리디렉션) 리퀘스트 완료..
-
쿠키와 세션을 알아보자.(그 누구보다 쉽게 한 줄 요약 가능)이론킹 2021. 3. 3. 03:32
★ 쿠키(Cokie)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쿠키의 사용 예 방문 사이트에서 로그인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 쇼핑몰의 장바구니 기능 자동로그인, 팝업에서 "오늘 더 이상 이 창을 보지 않음" 체크, 쇼핑몰의 장바구니 ★ 세션(Session)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서버측에서 관리합니다. 세션의 사용 예 로그인 같이 보안상 중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 쿠키와 세션의 차이 쿠키(Cookie) 세션(Session) 저장 위치 클라이언트(=접속자 pc) 웹 서버 저장 형식 Text Object 형식 만료 시점 쿠키 저장시 설정 (브라우저가 종료되도, 만료시점이 지나지 않으면 자동 삭제되지 않음)..
-
상대경로 절대경로를 알아보자이론킹 2021. 2. 28. 19:17
상대경로 / 절대경로 relative path / absolute path 두가지의 경우를 가장 어느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보려 합니다. 절대 경로 : 파일의 탐색 경로가 파일 시스템의 루트부터 시작해서 전부다 명시된 경로입니다. ex)c:/users/사용자아이디(없을 수도?)/data/ABC.xlsx 상대 경로 : 파일시스템에서 현재 작업 디렉터리로부터 찾아갈 파일에 목록으로 표시된 경로 : 쉽게 한번더-> 파일의 현재 작업중이 폴더 기준으로 지정 ex) ./data/ABC.xlsx 상대경로를 사용하여 공통폴더로 갈때마다 '.'을 추가한다.